소재공학실험

주조실험 결과(레포트)-------(2)

B급인생 전문가 2023. 11. 3. 18:07
728x90
반응형

본격적으로 주조품을 살펴보면서 결함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위의 그림을 참고하여 , 우선 표면결함의 일종인 용탕 돌출- 지느러미 결함을 관찰 할 수있다.

또한 blister dross 과 일부 균열의 모습도 관찰 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참고하여 주조품의 표면결함인 파임 및 구김, 모래 소착 , 개재물 등을 발견할 수 있다.

모래소착이 일어났다고 판단 되는 곳에서 mis-run(유동불량)도 의심이 가긴 하지만, 그림(1편에서 ) 참고하여, 주형틀이 무너져 내림때문인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수축공이나 공공, 기공들 이라고 생각할수 도 있긴 하지만, 공공과 수축공은 주조품 내부에서 생기는 결함으로 육안으로 관찰이 어렵다. 따라서 x선 실험 혹은 비파괴 검사를 통해서만 관찰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제물, blister dross라고 판단하는 것이 현명하다.

위와 같이 주조품에 생긴 결함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대책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우선 모래 소착의 방지대책으로는,

1.     충분한 내화성을 갖는 주형재료를 사용한다.

2.     조형시에 모래다짐을 규정대로 하고 핀 또는 못 등의 형지를 사용한다.

3.     국부적으로 과열되는 주형 부분에는 핀 또는 못 등의 형지를 사용한다.

4.     건조형, 가스 주형등에는 내화도가 높은 양질의 도형제를 도포한다.

5.     생형의 경우에는 주물사에 소착방지 첨가제를 배합한다.

 

 

다음으로는 파임 및 구김의 방지대책이다.

1.     주물사의 강도를 높이고 수분함유량을 높인다.

2.     첨가제등을 적당히 첨가하여 주물사의 팽창을 줄인다.

3.     주입온도를 낮추고 주입속도를 높인다.

 

용탕돌출로 인한 지느러미는 보통 주형벽이 침식되거나 낙하와 같이 이동하면서 용탕이 불필요한 부분을 채우게 되면서 일어나므로, 주물사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수축공은 통상 금속이 액체에서 고체로 변화될 때 부피가 수축하는 현상으로 인해 , 즉 응고과정에서 발생한다.  수축공의 방지대책으로는 주물의 두께를 될수 있는 한 얇게 하고 주입 온도를 필요이상으로 높이지 말아야 한다.

 

다음으로는 균열또한 액체에서 고체로 변화될 때 부피 수축에의한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물의 두께의 급격한 변화가 없도록 주형을 설계한다. 또한 주형의 열 팽창계수를 낮추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주물사를 배합할 때, 첨가제등을 배학하여 수축성을 주는 것도 하나의 방지대책이다 .

 

개재물, 용해, 용탕의 래들 이송, 용탕 주입 중 모래입자가 용탕내로 혼입되어 제품부에 남아 발생하는 결함을 발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1.     주물사에 점결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킨다.

2.     모래를 균일하게 다지고 주형을 조심스럽게 취급한다.

3.     탕구 방안의 개선을 통해 주물사의 혼입을 막는다.

4.     모형 표면에 결함이 없어야 하며 적당한 원형 빼기 기울기를 붙어야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실험실 환경을 다음과 같이 조절하여 성공적인 주조실험을 이끌 수 있다.

습도와 온도: 주조품의 품질과 구조에 습도와 온도가 영향을 있습니다. 일정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여 불균일한 조건으로부터 주조품을 보호할 있습니다.

 

 

 

결론: 비교적 아쉬운 주조품을 얻는데 있어서 정말 여러가지 요인들이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그림x를 참고해보면, 주형이 무너진 것이 이번 실험에 있어서 가장 큰 패착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로써 주조실험 끝~~~

 

 

 

2023년 11월 03일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시기에

'소재공학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 분말의 밀도  (1) 2023.11.12
금속 분말야금학- 유동도실험  (0) 2023.11.04
주조실험 결과(레포트)-------(1)  (1) 2023.11.03
주조 결함  (0) 2023.10.19
주물용 알루미늄- ADC12 or AC4C  (0) 2023.10.12